No More Tear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o More Tears》는 1991년 발매된 오지 오스본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잭 와일드가 기타 작곡에 참여했고, 레미 킬미스터는 6곡의 가사를 썼다. 앨범에는 〈I Don't Want to Change the World〉, 〈Mama, I'm Coming Home〉, 〈Hellraiser〉 등의 곡이 수록되었으며, 2002년 재발매반에는 〈Don't Blame Me〉와 〈Party with the Animals〉가 추가되었다. 이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오스본의 최고 앨범 중 하나로 여겨진다. 《No More Tears》는 빌보드 200 차트 7위를 기록했고, 미국에서 4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지 오스본의 음반 - Bark at the Moon
오지 오스본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Bark at the Moon》은 미국과 유럽에서 다른 곡 순서로 발매되었고 기타리스트 제이크 E. 리의 작곡 기여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빌보드 200 차트 19위, 미국 3x 플래티넘 인증을 받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 오지 오스본의 음반 - Diary of a Madman
오지 오스본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Diary of a Madman은 1981년 발매되었으며 기타리스트 랜디 로즈가 참여한 마지막 앨범으로 "Over the Mountain"과 "Flying High Again" 등의 곡이 수록, 발매 후 멤버 교체와 재발매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고 2002년과 2011년에 재발매되었다. - 1991년 음반 - Achtung Baby
U2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 《아흐퉁 베이비》는 1980년대 후반의 사운드에서 벗어나 인더스트리얼,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요소를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와 개인적인 주제의 가사로 호평받으며 상업적 성공과 함께 U2의 음악적 정체성을 재정립했다. - 1991년 음반 - The Low End Theory
A Tribe Called Quest의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The Low End Theory》는 재즈와 힙합의 혁신적인 융합, 미니멀리스트 프로덕션, 뛰어난 랩, 사회적 메시지로 호평받으며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로 인정받고 90년대 대안 힙합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Supreme Clientele
고스트페이스 킬라의 데뷔 음반인 《Supreme Clientele》는 RZA의 주도 하에 녹음 중단과 스튜디오 피해를 극복하고 아프리카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와 독특한 사운드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롤링 스톤지의 "역대 최고 앨범 500장" 목록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피프티 센트 조롱과 작사권 논란도 있었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Celine Dion
셀린 디온의 1992년 앨범 "Celine Dion"은 "미녀와 야수"의 성공과 유명 작곡가들의 참여, 그리고 그래미상과 주노상 수상으로 평론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셀린 디온을 북미 슈퍼스타로 만들었다.
No More Tear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헤비 메탈 하드 록 |
발매일 | 1991년 9월 17일 |
녹음 기간 | 1989년–1991년 |
녹음 장소 | A&M 스튜디오 및 데번셔, 로스앤젤레스 |
레이블 | 에픽 어소시에이티드 |
프로듀서 | 듀안 바론 존 퍼델 |
오지 오스본 연표 | |
이전 음반 | 저스트 세이 오지 (1990년) |
현재 음반 | 노 모어 티어스 (1991년) |
다음 음반 | 라이브 & 라우드 (1993년) |
싱글 | |
싱글 1 | 노 모어 티어스 (1991년 9월 16일) |
싱글 2 | 마마, 아임 커밍 홈 (1991년 11월 18일) |
차트 성적 | |
미국 빌보드 200 | 7위 |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 | 12위 |
뉴질랜드 앨범 차트 | 12위 |
노르웨이 앨범 차트 | 12위 |
영국 오피셜 앨범 차트 | 17위 |
독일 앨범 차트 | 24위 |
스웨덴 앨범 차트 | 25위 |
스위스 앨범 차트 | 37위 |
호주 앨범 차트 | 49위 |
네덜란드 앨범 차트 | 67위 |
인증 | |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IAA) | 멀티 플래티넘 |
캐나다 뮤직 (Music Canada) | 플래티넘 |
외부 링크 | |
뮤직 비디오 | "Mr. Tinkertrain": 유튜브 "Mama, I'm Coming Home": 유튜브 "No More Tears": 유튜브 "Road to Nowhere": 유튜브 |
2. 배경
기타리스트 잭 와일드가 앨범 작곡에 참여했으며, 모터헤드의 베이시스트이자 보컬인 레미 킬미스터는 6곡의 가사를 썼지만 앨범에는 4곡만 사용되었다.[43] 마이크 이네즈는 앨범의 뮤직 비디오와 홍보 투어에 참여했지만, 앨범 전체의 베이스 연주는 오스본의 오랜 협력자인 밥 데이즐리가 맡았다. 이네즈는 타이틀 곡의 작곡가로 이름을 올렸지만, 실제 녹음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인트로 베이스 리프는 그가 작곡했다.[44]
《No More Tears》는 여러 버전으로 발매되었으며, 각 버전마다 수록곡에 차이가 있다.
2002년 재발매된 《No More Tears》에는 〈Don't Blame Me〉와 〈Party with the Animals〉라는 두 곡이 추가되었다. 이 두 곡은 원래 1991년에 B-사이드로 발매되었다. 2002년 재발매된 Don't Blame Me 버전에는 원작과 다른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오리지널 B-사이드 버전은 CD의 싱글 및 오리지널 일본판에서 찾을 수 있다.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포지의 리드 보컬리스트인 크리스 제리코는 〈A.V.H.〉라는 노래의 제목이 "Aston Villa Highway"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는 오스본이 버밍엄에서 자라면서 응원했던 축구팀 애스턴 빌라 FC에 대한 경의를 표한 것이다.[45]
3. 평가
《No More Tears》는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오스본의 최고 앨범 중 하나로 여겨진다. 라우드와이어는 이 앨범을 "90년대 최고의 하드 록 + 메탈 앨범 90선"에서 22위로 선정했고,[14] 얼티메이트 클래식 록은 "90년대 최고의 록 앨범 100선"에 포함시켰다.[15] 얼티메이트 클래식 록과 클래식 록은 이 앨범을 오스본의 세 번째 최고 앨범으로 평가했다.[16][17]
4. 곡 목록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포지의 리드 보컬리스트인 크리스 제리코는 〈A.V.H.〉라는 노래 제목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오지 오스본은 "Aston Villa Highway"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오스본은 버밍엄에서 자라면서 자신과 그의 블랙 사바스 밴드 동료들이 응원했던 축구팀에 대한 경의를 표한 것이라고 한다.[45]
4. 1. 일반판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Mr. Tinkertrain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 5:57 |
2 | I Don't Want to Change the World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레미 킬미스터 | 4:06 |
3 | Mama, I'm Coming Home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레미 킬미스터 | 4:11 |
4 | Desire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레미 킬미스터 | 5:46 |
5 | No More Tears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마이크 이네즈, 존 퍼델 | 7:24 |
6 | S.I.N.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 4:47 |
7 | Hellraiser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레미 킬미스터 | 4:52 |
8 | Time After Time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 4:20 |
9 | Zombie Stomp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 6:14 |
10 | A.V.H.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 4:13 |
11 | Road to Nowhere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틸로 | 5:11 |
4. 2. 2002년 재발매 보너스 트랙
2002년 재발매반에는 두 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번호 | 곡 제목 | 재생 시간 |
---|---|---|
12 | Don't Blame Me | 5:06 |
13 | Party with the Animals | 4:17 |
4. 3. 30주년 기념 확장판
30주년 기념 확장판에는 일반판 및 2002년 재발매 보너스 트랙 외에 데모 버전, 라이브 버전, 리믹스 버전 등이 추가 수록되었다. 특히, 〈Hellraiser〉의 30주년 기념 에디션은 오지 오스본과 레미 킬미스터의 보컬을 매시업한 버전으로 수록되었다.[18]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비고 |
---|---|---|---|
Mr. Tinkertrain | 오지 오스본, 잭 와일드, 랜디 카스티요 | 5:56 | |
I Don't Want to Change the World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레미 킬미스터 | 4:05 | |
Mama, I'm Coming Home | 오스본, 와일드, 킬미스터 | 4:11 | |
Desire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킬미스터 | 5:45 | |
No More Tears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마이크 이네즈, 존 퍼델 | 7:25 | |
Won't Be Coming Home (S.I.N.)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4:47 | |
Hellraiser | 오스본, 와일드, 킬미스터 | 4:52 | |
Time After Time | 오스본, 와일드 | 4:20 | |
Zombie Stomp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6:13 | |
A.V.H.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4:13 | |
Road to Nowhere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5:10 | |
Don't Blame Me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5:00 | |
Party with the Animals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4:18 | |
I Don't Want to Change the World (데모)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킬미스터 | 3:56 | |
Mama, I'm Coming Home (데모) | 오스본, 와일드, 킬미스터 | 4:08 | |
Desire (데모)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킬미스터 | 5:00 | |
Time After Time (데모) | 오스본, 와일드 | 4:07 | |
Won't Be Coming Home (S.I.N.) (데모)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4:59 | |
Mrs J. (데모)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2:39 | |
I Don't Want to Change the World (라이브)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킬미스터 | 4:09 | 1992년 6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
Road to Nowhere (라이브)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 5:23 | 1992년 6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
No More Tears (라이브)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이네즈, 퍼델 | 7:04 | 1992년 6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
Desire (라이브) | 오스본, 와일드, 카스티요, 킬미스터 | 5:33 | 1992년 6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
Mama, I'm Coming Home (라이브) | 오스본, 와일드, 킬미스터 | 4:23 | 1992년 MTV |
Hellraiser (30주년 기념 에디션) | 오스본, 와일드, 킬미스터 | 4:55 |
5. 참여 뮤지션
참여 | 이름 | 비고 |
---|---|---|
보컬 | 오지 오스본 | |
기타 | 잭 와일드 | |
베이스 | 밥 데이즐리 | |
키보드 | 존 싱클레어 | |
드럼 | 랜디 카스틸로 | |
베이스 | 마이클 이네즈 | 크레딧에만 기재, 앨범에는 참여하지 않음, 영감/음악적 방향. 30주년 기념판 라이브 트랙 20-24 베이스 연주 |
베이스 | 테리 네일스 | 30주년 기념판 트랙 14-18 |
제작 | ||
프로듀서, 엔지니어 | 듀안 배런 | |
프로듀서, 엔지니어 | 존 퍼델 | |
엔지니어 | 마이클 보슬리 | |
믹싱 | 마이클 와게너 | |
마스터링 | 밥 루드비히 | |
커버 사진 | 맷 마후린 | |
2002년 재발매 정보 | ||
재발매 총괄 프로듀서 | 브루스 디킨슨 | |
스털링 사운드(Sterling Sound) 마스터링 | 크리스 아테네 | |
보컬 | 오지 오스본 | |
기타 | 잭 와일드 | |
베이스 | 밥 데이즐리 | |
베이스 | 마이크 아이네즈 | |
드럼, 타악기 | 랜디 카스티요 | |
키보드 | 존 싱클레어 |
6. 제작진
참여자 | 역할 |
---|---|
오지 오스본 | 보컬 |
잭 와일드 | 기타 |
밥 데이즐리 | 베이스 |
존 싱클레어 | 키보드 |
랜디 카스틸로 | 드럼 |
마이클 이네즈 | 베이스 (크레딧에만 기재, 앨범에는 참여하지 않음), 영감/음악적 방향[44] 30주년 기념판 라이브 트랙 20-24 베이스 연주 |
테리 네일스 | 베이스 (30주년 기념판 트랙 14-18) |
참여자 | 역할 |
---|---|
듀안 배런 | 프로듀서, 엔지니어 |
존 퍼델 | 프로듀서, 엔지니어 |
마이클 보슬리 | 엔지니어 |
마이클 와게너 | 믹싱 |
밥 루드비히 | 마스터링 |
맷 마후린 | 커버 사진 |
참여자 | 역할 |
---|---|
브루스 디킨슨 | 재발매 총괄 프로듀서 |
크리스 아테네 | 스털링 사운드(Sterling Sound) 마스터링 |
오지 오스본 | 보컬 |
잭 와일드 | 기타 |
밥 데이즐리 | 베이스 |
마이크 아이네즈 | 베이스 |
랜디 카스티요 | 드럼, 타악기 |
존 싱클레어 | 키보드 |
7. 차트 성적
《No More Tears》는 발매 당시 여러 국가에서 상위권에 랭크되었다. 빌보드 200 차트 7위를 기록하였고,[37] 싱글 〈No More Tears〉, 〈Mama, I'm Coming Home〉 등이 빌보드 핫 100 차트에 진입했다.[37]
차트 (1991–1992)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19] | 49 |
오스트리아[19] | 53 |
캐나다[19] | 17 |
네덜란드[19] | 67 |
핀란드 앨범 (The Official Finnish Charts)[19] | 8 |
독일[19] | 24 |
일본 앨범 (오리콘)[20] | 12 |
뉴질랜드[19] | 12 |
노르웨이[19] | 12 |
스웨덴[19] | 25 |
스위스[19] | 37 |
영국[19] | 17 |
빌보드 200[19] | 7 |
차트 (2021) | 최고 순위 |
---|---|
왈로니아[19] | 116 |
스코틀랜드[19] | 38 |
스페인[19] | 41 |
영국 록[19] | 9 |
빌보드 하드 록[19] | 16 |
싱글 차트 최고 순위는 다음과 같다.
8. 인증
참조
[1]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https://archive.org/[...]
Canongate Press
[2]
웹사이트
Ozzy Osbourne Official Charts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Company
2015-10-25
[3]
웹사이트
No More Tears Billboard Albums
http://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5-11-16
[4]
웹사이트
No More Tears Billboard Singles
http://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5-11-16
[5]
웹사이트
No More Tears Grammy Award
http://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5-11-16
[6]
웹사이트
RIAA Searchable Database-Search: Ozzy Osbourne
https://www.riaa.com[...]
2012-01-22
[7]
웹사이트
Gold Platinum Search for Ozzy Osbourne
https://musiccanada.[...]
Music Canada
2015-10-25
[8]
웹사이트
Zakk Wylde Interview
http://musiclegends.[...]
Music Legends
2010-09-22
[9]
웹사이트
Bob Daisley - The Interview
http://www.classicro[...]
Classic Rock Revisited.com
2002-04
[10]
서적
The Best in the World: At What I Have No Idea
https://books.google[...]
Gotham Books
2014-10-14
[11]
웹사이트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review
http://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5-11-16
[12]
간행물
No More Tears Review
http://www.ew.com/ew[...]
1991-09-20
[13]
웹사이트
Ozzy Osbourne: No More Tears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21-09-23
[14]
웹사이트
Top 90 Hard Rock + Metal Albums of the '90s
https://loudwire.com[...]
[15]
웹사이트
Top 100 '90s Rock Albums
https://ultimateclas[...]
[16]
웹사이트
Ozzy Osbourne Albums Ranked Worst to Best
https://ultimateclas[...]
[17]
뉴스
Ozzy Osbourne solo albums ranked from worst to best
https://www.louderso[...]
Classic Rock
2016-11-14
[18]
웹사이트
Hear a new 30th anniversary version of Hellraiser featuring Ozzy and Lemmy 'duet'
https://www.kerrang.[...]
2021-09-13
[19]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20]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21]
웹사이트
Ozzy Osbourne - Chart History -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23-03-13
[22]
문서
ORICON STYLE
https://www.oricon.c[...]
[23]
문서
charts.org.nz -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https://charts.nz/sh[...]
[24]
문서
norwegiancharts.com -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http://norwegianchar[...]
[25]
문서
Ozzy Osbourne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s://www.official[...]
[26]
문서
charts.de
http://www.officialc[...]
[27]
문서
swedishcharts.com -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http://swedishcharts[...]
[28]
문서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 hitparade.ch
http://hitparade.ch/[...]
[29]
문서
australian-charts.com -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http://australian-ch[...]
[30]
문서
dutchcharts.nl -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http://dutchcharts.n[...]
[31]
문서
日本初回発売時 (SRCS 5580) の正式表記は、ラテン文字の『NO MORE TEARS』
[32]
문서
Hellraiser | AllMusic
https://www.allmusic[...]
[33]
웹사이트
オジー・オズボーン『No More Tears』30周年記念 エクスパンデッド・デジタル・エディション 配信開始
https://amass.jp/150[...]
amass.jp
2021-11-14
[34]
문서
No More Tears (Bonus Tracks) - Ozzy Osbourne | AllMusic
https://www.allmusic[...]
[35]
웹사이트
Ozzy Osbourne - Artist
https://www.grammy.c[...]
Recording Academy
2023-03-13
[36]
웹사이트
22 Years Ago: Ozzy Osbourne's 'No More Tears' Album Released | Ultimate Classic Rock
http://ultimateclass[...]
2014-11-09
[37]
웹사이트
Ozzy Osbourne - Chart History - Billboard Hot 100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23-03-13
[38]
웹사이트
Ozzy Osbourne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s://www.official[...]
[39]
웹사이트
dutchcharts.nl - Discografie Ozzy Osbourne
http://dutchcharts.n[...]
[40]
웹사이트
charts.org.nz - Discography Ozzy Osbourne
https://charts.nz/sh[...]
[41]
웹인용
Ozzy Osbourne - No More Tears review
http://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5-11-16
[42]
잡지
No More Tears Review
http://www.ew.com/ew[...]
2012-06-04
[43]
웹인용
Zakk Wylde Interview
http://musiclegends.[...]
Music Legends
2013-05-28
[44]
웹인용
Bob Daisley - The Interview
http://www.classicro[...]
Classic Rock Revisited.com
2015-11-16
[45]
서적
The Best in the World: At What I Have No Idea
https://books.google[...]
Gotham Books
2015-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